중재반응(RTI) 기반 학습장애 진단평가_박영수트리

중재반응(RTI) 기반 학습장애 진단평가 학습장애 연구는 실제로 연구 이전의 가치 문제와 법적, 제도적 정비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미국에서 학습장애 연구가 처음 붐을 이룬 것은 1977년부터 1982년까지 미국 교육부가 5개 대학 연구소에 대해 막대한 연방기금을 지원한 것이었습니다. 이러한 연구소는 컬럼비아 대학, 시카고의 일리노이 대학, 캔자스 대학, 미네소타 대학, 그리고 버지니아 대학 등에 소재하고 있었습니다. 각 연구소에 학습 장애의 판별, 평가, 교육 방법에 대한 막대한 연구비를 오랜 세월 지원했습니다.중재반응(RTI) 기반 학습장애 진단평가 학습장애 연구는 실제로 연구 이전의 가치 문제와 법적, 제도적 정비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미국에서 학습장애 연구가 처음 붐을 이룬 것은 1977년부터 1982년까지 미국 교육부가 5개 대학 연구소에 대해 막대한 연방기금을 지원한 것이었습니다. 이러한 연구소는 컬럼비아 대학, 시카고의 일리노이 대학, 캔자스 대학, 미네소타 대학, 그리고 버지니아 대학 등에 소재하고 있었습니다. 각 연구소에 학습 장애의 판별, 평가, 교육 방법에 대한 막대한 연구비를 오랜 세월 지원했습니다.ⓒ 픽사베이이 책을 내기까지 굉장히 많은 분들의 도움이 있었습니다. 교육 사각지대의 아동과 청소년을 위한 상담사와 교사연수 워크숍을 직접 참여하여 운영해준 서울대학교 연구원들, 그리고 정성어린 손길로 책을 만들어준 박영스토리 임직원 여러분께 진심으로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특히,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지원하는 SSK 중형단계 교육사각지대 연구사업단을 운영하는 과정에서 학습부진 및 학습장애 전문가 양성과정에 참여한 여러 현장교사와 상담사들을 기억하고자 합니다. 마지막으로 지속적으로 참여해주신 독자 여러분께 깊은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2021년 관악산 연구실에서 오름 김동일학습 장애 진단 평가 저자 Joseph F. Kovaleski, Amanda M. VanDer Heyden, Edward S. Shapiro 출판 박영스토리 발매 2021.03.15。저자의 Joseph F.Kovaleski박사의 펜실베이니아·인디애나 대학교 심리학 전공 교수이며 학교 심리학 박사 과정의 전공 주임이다.그는 국립 학습 장애 센터(National Center for Learning Disabilities, NCLD)에 있는 RTI실행 네트워크(RTI Action Network)의 자문 위원회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School Psychology Review의 편집 위원회에 있다.2005년에 Edward S. Shapiro와 함께 펜실베이니아 주에서 펜실베이니아 교육 및 기술 지원 네트워크(Pennsylvania Training and Technical Assistance Network)을 통해서 RTI을 시작했다.그는 RTI관련 논문, 책의 챕터, 웹 기반 콘텐츠를 발행하고 또 학교 개혁 및 학교 심리학 관련의 다른 주제를 연구했다.Amanda M. VanDer Heyden박사는 여러 학교에서 근무한 카운슬러이며, 연구자, 교사 연수 전문가인, Alabama의 Fairhope에 있는 Education Research and Consulting회장이다.NCLD에 있는 RTI실행 네트워크(RTI Action Network)의 자문 위원회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NCLD의 교육 프로그램 위원회(Education Programs Committee)의 구성원인 미국 교육부 교육 과학 연구소의 패널이다.미국 심리 학회(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APA)의 16분과(학교 심리학)에서 Lightner Witmer Early Career Contributions Award를 수상했다.또 School Psychology Review의 부 편집장이자 RTI에 관한 다수의 논문과 저서를 출판하고 있다.Edward S. Shapiro박사는 Lehigh University의 사범 대학에서 학교 심리학 전공 교수이자 연구 실천 진흥 센터(Center for Promoting Research to Practice)의 책임자로 활동하고 있다.APA16분과에서 우수 과학자 상(Senior Scientist Award)을 수상하고 많은 책의 저자 및 공저자인 교육 과정 중심 평가 및 학업 기술 문제의 비평준화 평가 방법과 관련한 연구에서 가장 잘 알고 있다.현재 펜실베이니아 주 교육부와 협업하는 주의 RTI수행을 개발하고 있다.번역자의 김·동일 교수, 서울대 사범대 교육학과 교육 상담 전공 교수 및 대학원 특수 교육 전공 주임 교수, 서울대 대학 생활 문화원 원장, 장애 학생 지원 센터 상담 교수, 서울 대학 특수 교육 연구소 소장으로 재직하고 있다.서울 대학교 교육학과를 졸업, 교육부 국비 유학생으로 미국 미네소타 대학 교육 심리학과에서 석박사 학위를 취득했다.Developmental Studies Center, Research Associate, 한국 청소년 상담원 상담 교수, 경인 교육 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한국 학습 장애 학회 회장, 서울대 사범대 기획 실장, 국가 청소년 보호 위원회 위원,(회사)한국 교육 심리 학회 회장 등을 역임했다.국가 차원의 인터넷 중독 척도가 개입 연구를 진행하고 정보화 지역 기능 예방 사업에 대한 공로로 행정 안전부 장관 표창 및 연구 논문/책의 우수성에서 한국 상담 학회 학술 상(2014-2/2016)과 하크지사 저술상(2012)을 수상했다.현재 BK21FOUR혁신과 공존의 교육 연구 사업단 단장, SSK중형 단계 교육 사각 지대 학습자 연구 사업단장, 한국 아동 청소년 상담 학회 회장, 한국 특수 교육 학회 부회장, 여성 가족부 교외 청소년 지원 위원회(2기)위원, 국무 총리실 사행 산업 통합 감독 위원회(중독 분과)민간 위원 등에서 봉직하고 있다.차례 제1장 중재 반응 접근의 역사적 및 법적 배경 제2장 학교 개혁으로서 중재 반응 접근법의 구현 제3장 학업 저 성취의 평가제4장 향상률 결정제5장 배제 조건제6장 배제 준거: 적절한 교육의 결핍제7장 관찰 평가 제8장 RTI시스템의 보호자 참여, 제9장학습 장애 특수 교육 적격성 결정 제10장IEP작성을 위한 RTI데이터 사용, 제11장RTI와 특정 학습 장애에 대해서 자주 있는 질문

error: Content is protected !!